반응형
👮♂️👨🚒👨✈️👩💼 경찰·소방·군인·공무원 직급 완전 비교표!
“내 계급은 다른 조직에서는 어느 수준일까?”
경찰·소방·군인·공무원은 모두 '공직자'이지만 직급 체계가 각기 다릅니다.
하지만 계급명이 다를 뿐, 조직 내 역할이나 책임 수준은 서로 비슷한 경우가 많아요.
시험 준비생, 군 전역자, 공직자, 전직 계획자라면 반드시 알아둬야 할 직급 대응표!
📌 왜 비교가 필요한가요?
- 군 출신이 공무원으로 전환할 때 내 경험치가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
- 경찰/소방공무원 준비자라면 일반직과의 차이를 이해
- 승진/보직 체계를 전체 공직자로 확장해 파악할 수 있음
- 이직, 전직, 경력 인정 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됨
🧾 경찰·소방·군인·공무원 직급 비교표 (책임 수준 기준)
📌 수준 🟦 경찰 계급 🟥 소방 계급 🟩 군인 계급 🟨 공무원 직급
초급 실무자 / 신규 입직자 | 순경 | 소방사 | 이병 ~ 병장 | 9급 / 8급 |
일선 실무 / 승진 초기 | 경장 → 경사 | 소방교 → 소방장 | 하사 → 중사 → 상사 → 원사 | 7급 |
중간 책임자 / 팀장급 | 경위 | 소방위 | 소위 → 중위 | 6급 |
부서 책임자 / 지휘자 | 경감 | 소방경 | 대위 → 소령 | 5급 (사무관) |
과장급 / 연대급 책임자 | 경정 | 소방령 | 중령 → 대령 | 4급 (서기관) |
고위 책임자 / 지휘관급 | 총경 → 경무관 | 소방정 → 소방준감 | 준장 | 3급 (부이사관) |
국장급 간부 | 치안감 | 소방감 | 소장 | 2급 (이사관) |
최고 책임자 / 정책 책임자 | 치안정감 → 경찰청장 | 소방청장 (소방총감) | 중장 → 대장 | 1급 (관리관 및 장관급) |
💡 직급 비교 해설
- 순경·소방사·이병·9급 공무원은 각각의 조직에서 막 입직한 실무자
- 경위·소방위·중위·6급 공무원은 팀장 또는 초급 간부
- 총경·소방정·준장·3급 공무원은 지휘관급으로, 지방본부장이나 기관장 역할
- 치안감·소방감·소장·2급 공무원은 실질적 ‘국장급’ 간부
- **청장급(치안총감, 소방총감)**은 해당 조직의 최고 수장으로, 장관급 위상
✍️ 주의할 점
- 직급 명칭이 같더라도 각 조직의 인사 체계나 승진 속도, 권한은 다를 수 있습니다.
- 예: 공무원 5급은 시험으로 입직 가능하지만, 군 소령이나 경찰 경감은 승진 또는 경력경쟁채용에 의존함.
- 소방·경찰은 ‘특정직 공무원’으로 일반직 공무원과 복무규정이 일부 다릅니다.
✅ 실전 비교 정리 (예시 기준)
비교 항목 경찰 소방 군인 공무원
팀장급 | 경위 | 소방위 | 중위 | 6급 |
과장급 | 경정 | 소방령 | 대령 | 4급 |
본부 책임자 | 총경 | 소방정 | 준장 | 3급 |
부처 국장급 | 치안감 | 소방감 | 소장 | 2급 |
정책 최고책임자 | 경찰청장 | 소방청장 | 대장 | 1급 및 장관급 |
🎯 마무리
공직사회의 직급 구조는 서로 달라 보이지만, 실제 역할과 책임 범위로 보면 충분히 비교가 가능합니다.
조직마다 계급은 다르지만, 리더의 무게는 같기 때문이죠.
직업 간 위상 비교, 전직 준비, 조직 이해에 이 정보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