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👮♂️👨🚒👨✈️👩💼 경찰·소방·군인·공무원 직급 완전 비교표!
“내 계급은 다른 조직에서는 어느 수준일까?”
경찰·소방·군인·공무원은 모두 '공직자'이지만 직급 체계가 각기 다릅니다.
하지만 계급명이 다를 뿐, 조직 내 역할이나 책임 수준은 서로 비슷한 경우가 많아요.
시험 준비생, 군 전역자, 공직자, 전직 계획자라면 반드시 알아둬야 할 직급 대응표!
📌 왜 비교가 필요한가요?
- 군 출신이 공무원으로 전환할 때 내 경험치가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
- 경찰/소방공무원 준비자라면 일반직과의 차이를 이해
- 승진/보직 체계를 전체 공직자로 확장해 파악할 수 있음
- 이직, 전직, 경력 인정 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됨
🧾 경찰·소방·군인·공무원 직급 비교표 (책임 수준 기준)
책임 수준 🟦 경찰 계급 🟥 소방 계급 🟩 군인 계급 🟨 일반직 공무원
| 초급 실무자 / 입직 초기 | 순경 | 소방사 | 이병 ~ 병장 | 9급 / 8급 |
| 일선 실무 / 초기 간부 | 경장 → 경사 | 소방교 → 소방장 | 하사 → 중사 → 상사 | 7급 |
| 중간 책임자 / 팀장급 | 경위 | 소방위 | 원사 ~ 소위 | 6급 |
| 부서 책임자 / 지휘자 | 경감 | 소방경 | 중위 → 대위 | 5급 (사무관) |
| 과장급 / 중대·대대 책임자 | 경정 | 소방령 | 소령 → 중령 | 4급 (서기관) |
| 지휘관 / 지역 책임자 | 총경 → 경무관 | 소방정 → 소방준감 | 대령 → 준장 | 3급 (부이사관) |
| 국장급 간부 | 치안감 | 소방감 | 소장 | 2급 (이사관) |
| 정책 최고책임자 | 치안정감, 경찰청장 | 소방청장 | 중장 ~ 대장 | 1급 (관리관) 또는 장관급 정무직 |
💡 직급 비교 해설
- 초급 실무자
순경, 소방사, 이병, 9급은 각 조직에서 막 입직한 초기 직급입니다. - 중간 간부 / 팀장급
경위, 소방위, 군 소위 또는 원사, 공무원 6급은 실제 실무 팀장 또는 분대장 역할 수행. - 지휘관급 간부
총경, 소방정, 군 준장, 3급 공무원은 기관장·본부장 역할을 맡습니다. - 청장급
경찰청장, 소방청장, 군 대장급은 해당 조직의 최상위 지휘자로, 법적 직급은 차관급 외청장이며, 위상은 장관급에 준합니다.
✍️ 직급 비교 시 주의할 점
- 같은 급수라도 조직별 위상/보직 권한 차이가 있습니다.
- 예: 공무원 5급은 시험으로 바로 입직 가능하지만, 군 소령·경찰 경감은 내부 승진 구조가 대부분입니다.
- 군인 원사의 위상은 간부급과 유사
- 많은 비교표에서 원사를 ‘상사’와 동일 선상에 놓지만, 실제 역할은 소위 또는 6급 팀장급 수준입니다.
- 공무원 1급 = 장관급은 사실과 다름
- 1급 공무원은 중앙부처 실국장급이며, 장관은 정무직 고위공무원단에 해당합니다.
✅ 실전 비교 예시
비교 항목 경찰 소방 군인 공무원
| 팀장급 | 경위 | 소방위 | 소위 또는 원사 | 6급 |
| 과장급 | 경정 | 소방령 | 대령 | 4급 |
| 본부장급 | 총경 | 소방정 | 준장 | 3급 |
| 국장급 | 치안감 | 소방감 | 소장 | 2급 |
| 조직 수장 | 경찰청장 | 소방청장 | 대장 | 장관급 (정무직) |
🎯 마무리
- 조직은 달라도 직무 책임 수준은 비교가 가능합니다.
- 각 조직의 계급은 서로 다르지만, 팀을 이끌고, 본부를 운영하며, 조직을 대표하는 리더의 무게는 같습니다.
- 직업 전환, 이직, 승진 준비 중이라면 내 현재 위치가 다른 조직에선 어느 정도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반응형